안녕하세요. 이번 시간에는 RAID라는 기술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RAID라는 기술은 서버에서 데이터를 저장할 때 여러 개의 스토리지를 묶어놓고 다양하게 저장하는 기술로써 데이터의 손실을 막기 위한 기술입니다. 그렇다면 RAID의 종류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Linear RAID : 하나의 스토리지에 데이터가 가득 차면 다음 스토리지로 넘어가도록 설정하는 방식입니다.

 RAID 0 : 2개의 스토리지를 묶어 놓고 분산하면서 저장함으로써 스토리지를 동시에 사용하는 방식으로 Striping이라고도 합니다.

 RAID 1 : 2개의 스토리지를 묶어 놓고 양쪽 스토리지에 같은 내용을 저장함으로써 Mirroring이라고도 합니다.

 RAID 2 : X

 RAID 3 : 패리티라는 것을 사용하고 디스크를 병렬 처리하는 기술로 데이터는 바이트 단위로 쪼개져서 모든 디스크에 균등하게 나뉘어 저장되며 패리티 정보는 별도의 디스크에 저장하는 기술입니다.

 RAID 4 : 각 디스크는 패리티 블럭을 공유하고 모든 파일은 블럭으로 쪼개지게 됩니다. 각 블럭은 여러 디스크에 저장되지만 균등하지는 않습니다. 패리티를 처리하기 위해 별도의 디스크가 사용됩니다.

 RAID 5 : 최소 3개 이상의 디스크 필요로 하고 전체 디스크 용량의 75%만 사용 가능합니다. Parity Across Disks라고도 합니다.

 RAID 6 : RAID 1로 구성한 데이터를 다시 RAID 0으로 구성함으로써 RAID 1,2의 성능을 동시에 확보하는 기술입니다.


 이처럼 여러개의 RAID 방식이 있지만 이번 포스팅에서는 RAID 5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우선 이 기술을 시작하기에 앞서 서버에서는 주 스토리지 외에 추가적으로 스토리지가 필요하므로 3개의 스토리지를 더 추가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위와 같은 방식으로 3개를 추가해줍니다.



 위처럼 HDD를 모두 추가했으면 서버를 재부팅 후 'ls -l /dev/sd*' 명령어를 통해 HDD가 제대로 추가되었는지 확인해줍니다.



 위 화면에서는 sdb, sdc, sdd만 주목해주면 됩니다. 제대로 들어간 것을 확인했으니 이제 RAID설정에 들어가보도록 하겠습니다. 'fdisk /dev/sdb' 명령어를 통해 첫번째 스토리지를 설정해줍니다.



 

 이후에는 위처럼 순서대로 'p-n-p-<ENTER>-<ENTER>-t-fd-p-w'를 눌러주시면 됩니다. 이 옵션들의 설명은 아래에 나와있습니다. 이외의 다른 설정들에 대해 알아보고 싶다면 m을 통해서 알아볼 수 있습니다.


 RAID Options

  Command : n (새로운 파티션 분할)

  Select : p (Primary 파티션 선택)

  Partition number : 1 (파티션 번호 1 선택)

  First Cylinder : 엔터 (시작 실린더 번호)

  Last Cylinder : 엔터 (마지막 실린더 번호)

  Command : t (파일 시스템 유형 선택)

  Hex code : fd (Linux raid autodetect)

  Command : p (설정 내용 확인)

  Command : w (설정 저장)


  a : toggle a bootable flag

  b : edit nested BSD disklabel

  c : toggle the dos compatibility flag

  d : delete a partition

  l : list known partition types

  n : add a new partition

  p : print the partition table

  t : change a partition type

  v : verity the partition table

  m : print this menu

  u : change display/entry units

  x : extra functionality ( experts only )

  w : write table to disk and exit

  q : quit without saving changes

  g : create a new empty GPT partition table

  G : create a new empty SGI (IRIX) partition table

  o : create a new empty DOS partition table

  s : create a new empty Sun partition table


※ 첫번째 p는 'print the partition table' 옵션의 p이고, 두 번째 p는 primary로 설정하겠다는 옵션의 p입니다.

 'fdisk' 명령어가 제대로 됐는지 확인하려면 'fdisk- l'을 통해 알아볼 수 있습니다. 이런식으로 sdb, sdc, sdd 모두 설정을 끝마친 후 'mdadm --create /dev/md5 --level=5 --raid-devices=3 /dev/sdb /dev/sdc /dev/sdd'명령어를 입력해줍니다. 참고로 'mdadm' 명령어는 패키지를 설치해야합니다. ( apt-get install -y mdadm ) 



 명령어를 실행하면 마지막에 'continue creating array?'라는 문주를 확인할 수 있는데 y를 눌러서 yes를 표시해줍니다. 이제 'mkfs.ext4 /dev/md5' 명령어를 입력해줍니다.



 명령어를 입력하면 위와 같이 뭐가 막 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제 다시 'mdadm --detail --scan' 명령어로 확인을 해줍니다. 



 정상적으로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제 '/raid'라는 폴더를 생성해준 후 '/etc/fstab'이라는 폴더에 들어가줍니다.

들어가면 아래와 같은 화면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위 파일에 '/dev/md5 /raid ext4 defaults 1 2'를 양식에 맞게 써줍니다.( 꼭 맞출 필요는 없습니다 ) 다시 'mdadm --detail /dev/md5' 명령어로 확인해줍니다.



 잘 만들어진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제 'update-initramfs -u'를 입력해주면 됩니다. 이상으로 RAID 5에 대한 포스팅을 마치도록 하겠습니다.

'Server > Debian(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Master DNS  (0) 2018.12.24
Debian 9 IP 설정  (0) 2018.11.14
Debian 9.2 Install  (0) 2018.11.07

 안녕하세요. 이번 시간에는 DNS 서버 중에서도 마스터 DNS(Master DNS)서버를 구축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저는 korea.com이라는 도메인을 통해 실습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우선 항상 해오던 방법대로 서버를 생성해줍니다.



 여기는 로그인을 하고 난 후 기본화면입니다. 이제 필요한 패키지들을 설치하도록 하겠습니다. 저는 편의상 'vim' 'net-tools' 'dnsutils' 를 설치하였습니다.


※ 참고로 Debian 8버전에서 9버전으로 넘어오면서 여러 요소가 바뀐 관계로 'net-tools'와 'dnsutils'를 설치하지 않으면 'ifconfig'명령어와 'nslookup'명령어가 사용 불가능합니다.



 설치를 모두 완료했으면 /etc/vim/vimrc 파일에서 필요한 설정을 하도록 하겠습니다. 저는 'syntax on'이라는 구문을 주석해제하고 'set nu'라는 구문을 추가하면서 앞에 번호가 새겨지도록 하였습니다.



 설정을 했으면 파일을 나가서 DNS에 필요한 설정들을 하겠습니다. 우선 호스트이름과 로컬 hosts파일에 접속해 필요한 설정들을 해줍니다.



 위의 화면은 로컬 hosts파일에 접속한 화면입니다. 기존의 127.0.1.1 DNS 밑에 '192.168.0.1 DNS.korea.com DNS'를 추가해줌으로써 192.168.0.1은 FQDN이 DNS.korea.com이고 호스트이름은 DNS라는 것을 명시하여주었습니다. (FQDN : Full Qualified Domain Name, 도메인의 전체 이름)



 위의 화면은 /etc/hostname 파일에 자신의 호스트이름을 명시해 준 모습입니다. 다음으로 필수가 되는 IP를 설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위의 화면을 보시면 기존의 Debian 8과는 꽤 바뀐 모습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우선 NIC(Network Interface Card)이름이 eth0, eth1 이런식에서 ens33, ens37 과 같은 식으로 바뀌었습니다. 또 번거롭게 netmask 255.255.255.0 할 필요 없이 IP뒤에 prefix 값만 적어주어도 되도록 편리해졌습니다. 게이트웨이는 현재의 토폴로지에서는 필요없기 때문에 적어주지 않았습니다.



 IP를 설정해주었다면 'service network interface'명령어를 통해 네트워크를 재시작해줍니다. 그러면 위와 같이 제대로 된 설정이 보입니다. IP 설정까지 잘 되었다면 'bind9' 패키지를 깔아주도록 합니다. 'bind9'은 Debian에서 DNS를 실행하기 위해 사용하는 패키지입니다.


 설치가 완료되면 /etc/bind/named.conf 파일로 접속해보도록 하겠습니다. 



 파일에 접속하면 위와 같은 화면을 보실 수 있습니다. 9~11 번 문장은 각 문장의 경로에 있는 파일을 참조한다는 구문입니다. 11번째 정상적인 서버라면 루트 DNS가 존재하고 해당 루트 서버로부터 정보를 받아야하기 때문에 필요하지만 현재의 토폴로지에서는 Master 서버 하나만 존재하기 때문에 주석처리 해주었습니다. 주석처리를 해준 후 /etc/bind/named.conf.local 파일에 접속해줍니다.



 처음 접속하면 1~7번 줄 까지밖에 없는 공백의 화면을 보실 수 있습니다. 이제 위의 화면처럼 필요한 도메인에 대한 정보들을 기재해 주시면 됩니다. 아래는 기본 형식입니다.


zone "korea.com" {                                    // 도메인에 대한 선언입니다. 저는 'korea.com'이라는 도메인을 선언했습니다.

type master;                                       // 이 서버는 master 서버로 동작한다는 선언입니다.

file "/var/cache/bind/korea.com.zone";      // 해당 도메인에 대한 레코드는 /var/cache/bind/korea.com.zone에 있습니다.

※ 여기서 /var/cache/bind/까지의 경로는 무조건 같아야 합니다.

allow-query { ( any | A.B.C.D ) };               // 요청을 허락한다는 문구입니다. any로 하면 모든 IP로부터이고 A.B.C.D는                                                            특정 IP로부터 입니다. 생략 가능

allow-update { ( any | A.B.C.D ) };             // 업데이트 요청을 허락한다는 문구입니다. DDNS 구축시에 사용합니다. 

   생략 가능

notify yes;    

};


zone "0.168.192.in-addr.arpa" {                      // 위는 정방향에 대한 설정이고 아래는 역방향에 대한 설정입니다.

type master;                                        // 내용은 정방향과 같습니다.

file "/var/cache/bind/korea.com.rev";

allow-query { ( any | A.B.C.D ) };

allow-update { ( any | A.B.C.D ) };

notify yes;

};


 기본 형식은 위와 같습니다. 필요에 맞게 수정하여 설정해주시면 됩니다. 참고로 DNS에는 정방향과 역방향이라는 것이 존재하는데 역방향을 꼭 설정하지는 않아도 됩니다. 


※ 정방향 : 도메인에 대한 IP를 물어보는 요청

    역방향 : IP에 대한 도메인을 물어보는 요청


 위와 같이 정방향과 역방향에 대한 설정이 끝났다면 이제 레코드를 수정해주도록 합니다. 위의 과정은 해당 도메인에 대한 정보가 어느 파일에 있고 어떻게 관리할 것인가에 대한 설정이었다면 이제부터는 해당 도메인에 대한 레코드(호스트와 IP를 매칭시켜놓은 정보)가 무엇이 있고 추가, 삭제할 때 접속하는 파일입니다. 우선 이 파일들을 생성하기 위해 복사를 해줍니다.


cp /etc/bind/db.local /var/cache/bind/korea.com.zone       

cp /etc/bind/db.127 /var/cache/bind/korea.com.rev 



 처음 접속하면 위와 같은 화면을 볼 수 있습니다. 이제 :을 누르고 '%s:localhost:korea.com:g'를 입력해줍니다. 그러면 localhost라는 부분이 모두 korea.com으로 바뀌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이제 필요한 레코드들을 기재해주면 됩니다. 우선 로컬 서버의 호스트인 DNS를 적어주도록 합시다.

 


 호스트를 기재하기 전에 '@ IN A [ local IP ]'를 꼭 기재해주셔야 합니다. 그래야 DNS가 동작하면서 해당 서버의 IP를 확인할 수 있고 DNS 서버로 지정된 서버가 맞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위의 문구를 기재했다면 이제 필요한 설정들을 해줍니다. 로컬 서버인 DNS를 추가해보겠습니다. 아래의 문구만 적어주면 됩니다.

 

 DNS IN A 192.168.0.1


 여기서 알 수 있는 것은 DNS라는 호스트는 192.168.0.1이라는 IP와 매칭시킨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정방향에 대한 설정이 끝났으면 역방향에 대한 설정도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아까 복사했던 /var/cache/bind/korea.com.rev 파일로 들어가줍니다.



 접속하면 위와 같은 화면을 볼 수 있습니다. 여기서도 아까와 같이 ':%s:localhost:korea.com:g'를 입력해줍니다. 그러면 'localhost'라고 써있던 부분들이 'korea.com'으로 바뀌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는 정방향과 다르게 입력해주어야 합니다. 아까는 'host' IN A 'IP 순서였다면 이번에는 'IP' IN PTR 'host'순서대로 적어주어야 합니다. 또 IP를 적을때도 IP를 전체 다 적어주는 것이 아니라 위처럼 끝의 옥탯만 적어주면 됩니다. 위에서는 DNS라는 호스트의 IP가 192.168.0.1이기 때문에 1만 적어주었습니다.



 설정이 모두 끝났으면 /etc/resolv.conf 파일로 접속해줍니다. 그 후 'nameserver 192.168.0.1'이라고 적어줌으로써 DNS 서버는 192.168.0.1이라는 것을 명시해줍니다. 이제 파일을 나간 후 'service bind9 restart'를 입력하고 'service bind9 status'를 통해 정상적으로 작동하는지 확인해줍니다.



 Active : active(running)이라고 뜨는 것을 보아 정상적으로 작동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제 nslookup을 통해 조회를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nslookup으로 조회환 결과 레코드에 작성했던 IP를 제대로 가져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상으로 Master DNS 서버에 대한 포스팅을 마치도록 하겠습니다.

'Server > Debian(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Debian - RAID  (0) 2019.03.06
Debian 9 IP 설정  (0) 2018.11.14
Debian 9.2 Install  (0) 2018.11.07

 안녕하세요. 이번 시간에는 Debian 9.2 버전의 리눅스에서 IP를 설정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우선 저번에 생성한 Debian 9 버전의 가상머신을 실행시켜 줍니다. 그리고 아래에서 진행하겠습니다.


 아래의 화면은 'root' 유저로 로그인한 화면입니다. 이제 설정을 진행하도록 하겠습니다.



우선 저는 편의상 'vim' 패키지와 'net-tools' 패키지를 설치하였습니다. Debian 9 버전부터는 'ifconfig' 명령어 대신에 'ip addr' 명령어가 기본 탑재되기 때문에 'ifconfig' 명령어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net-tools' 패키지를 설치해야 합니다.

 


 두 패키지를 설치한 후의 화면입니다. 아무런 에러가 없는 것으로 보아 정상적으로 설치가 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아래의 화면은 '/etc/vim/vimrc' 파일의 모습입니다. 'vim' 명령어에 대한 설정이 담겨있습니다.



 'syntax on' 문구를 주석해제하고 'set nu' 명령어를 적용함으로써 줄 번호를 매깁니다.



  위의 과정을 거친 후 나갔다가 다시 접속한 화면입니다. 앞에 줄 번호가 생긴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편의를 위한 설정이 끝났다면 이제 랜카드의 번호를 확인해줍니다. 제 랜카드의 번호는 'ens37'인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원래는 ens33부터 시작하지만 랜카드를 지웠다 생성했다를 반복하면 아래와 같이 ens37이나 다른 숫자부터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게 8버전에서는 eth0에서 시작해서 eth1 eth2 이런 순으로 나갔었는데 9버전으로 넘어오면서 바뀌었습니다.



 이제 랜카드의 번호를 확인했다면 /etc/network/interfaces' 경로로 접속하여 네트워크에 대한 설정을 진행해야 합니다. 접속하면 처음에는 아래와 같이 텅텅 빈 화면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제 아래와 같이 입력해줍니다. 입력한 내용으로는

 auto ens37 -> ens37번의 랜카드를 사용한다는 선언(?)

 iface ens37 inet static -> 해당 랜카드를 수동 IP로 설정한다는 선언

 address 192.168.0.1/24 -> 이 랜카드의 IP는 192.168.0.1/24의 주소임을 선언

 gateway 192.168.0.254 -> 이 랜카드의 게이트웨이는 192.168.0.254임을 선언


 이 외에도 추가적으로 설정할 수 있는 것들이 있지만 현재로서는 필요가 없기에 하지 않겠습니다.



 설정이 끝났으면 'service networking restart' 명령어로 네트워크를 재시작 하고 'ifconfig' 명령어를 통해 IP가 제대로 설정되었는지 확인해줍니다.



 위의 화면과 같이 잘 설정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상으로 Debian 9 IP 설정하는 방법에 대한 포스팅을 마치도록 하겠습니다.

'Server > Debian(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Debian - RAID  (0) 2019.03.06
Master DNS  (0) 2018.12.24
Debian 9.2 Install  (0) 2018.11.07

 안녕하세요. 이번 시간에는 리눅스 OS 중 Debian이라는 녀석을 설치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우선 데비안도 리눅스의 일종이기 때문에 웹상에서 쉽게 구할 수 있습니다. 참고로 데비안은 CD가 3개로 나눠져 있는 버전과 2개로 나눠져있는 버전이 있는데 두 버전 모두 용량이 어마어마합니다.(저는 현재 쓰는 것은 2개 합 60GB....) 아무쪼록 OS가 있다는 가정하에 설치를 진행해보도록 하겠습니다. 


※ 저는 VMware상에서 설치를 진행하여서 네트워크 설정 부분에서는 실제 환경과 차이점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우선 VMware에서 가상머신을 생성해줍니다. 



OS는 나중에 탑재할 것이기 때문에 우선 빈 깡통을 생성해주도록 합니다.



가상머신 버전을 Linux - Debian 9.x로 맞춰줍니다. ( 이 부분에서 오류가 생기면 설치가 제대로 진행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



가상머신의 이름과 위치를 지정해줍니다.



가상머신에서의 용량을 지정해줍니다. 기본 설정은 20GB로 돼있는데 저는 넉넉하게 60GB를 주었습니다. ( 이렇게 주어도 연습하는 과정에서 용량이 부족한 것은 느끼지 못했습니다. 부족하다면 나중에 추가해도 상관없습니다 )



생성될 가상머신의 최종적인 정보를 보여줍니다. 이상이 없으면 'Finish'를 통해 생성을 끝내도록 합니다.



가상머신이 생성된 모습입니다. 현재 아무것도 없기 때문에 미리보기에는 검은 화면이 나오게 됩니다. 이제 가상머신을 우클릭해서 'Settings'를 통해 설정에 들어가줍니다.



설정에 가보면 아래 파란 항목처럼 CD를 지정해주는 항목이 있습니다. 'Connection'부분의 'Use ISO image file'을 클릭해서 OS의 위치를 지정해줍니다.



Debian OS의 위치를 지정해준 후 첫번째 디스크를 선택해줍니다.



OS가 제대로 탑재된 모습입니다.



이제 아래의 'OK'를 누른 후 'Power on this virtual machine'을 통해 실행을 해줍니다.



실행 첫 화면입니다. 어떻게 설치할 것인지 설정할 수 있지만 그래픽은 너무 오래 걸리고 버벅거리므로 클린하게 기본설치를 해줍니다.



'Install'을 하면 어떤 언어를 사용할 것인지를 나타내는 화면이 나옵니다. 한국어를 사용하면 좋겠다만 그럴 경우 오류가 생길 수 있다는 말이 있어 영어로 해주도록 합니다.



다음 제 위치를 설정해줍니다. 이 항목은 NTP 설정을 할 때 현재 위치와 맞아야 하기 때문에 한국으로 설정해줍니다. 한국은 첫 화면에 없으므로 'other'을 통해 다른 목록을 확인합니다.



다른 항목으로 넘어가면 대륙을 선택하게 됩니다. 우리나라는 아시아에 있으므로 'Asia'를 택해줍니다.



아시아에서 찾다보면 우리나라가 보일 겁니다. 참고로 우리나라의 영어 명칭은 'Korea, Republic of'입니다. 그 위에 것은 북한입니다.



저기서 다음 화면으로 넘어가면 아래와 같이 locale?을 설정하는 화면이 나오는데 가장 보편적인 영어 'United States - en US, UTF-8'을 사용해줍시다.(해석해보면 미국어네요;;)



위의 알 수 없는 화면을 넘어가면 키보드 타입을 설정하게 되는데 미국 영어를 설정해줍니다.



위에까지 설정했다면 아래와 같이 로딩하는 화면이 나오게 됩니다.



한참을 기다리다보면 네트워크에서 에러가 생긴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 부분은 가상머신이기 때문에 생기기는 하지만 사전에 네트워크를 설정해주면 생기지 않고 자동으로 설정됩니다. 저는 사전에 설정해주지 않았기 때문에 이런 화면이 뜹니다. 우선 넘어가줍니다.



위 화면에서 넘어가면 네트워크를 어떻게 할 것인지를 묻는 화면이 나오는데 저는 나중에 설정할 것이기 때문에 가장 아래의 'Do not configure the network at this time'을 눌러줍니다.



네트워크를 건너뛰면 호스트이름으로는 어떤 것을 사용할 것인지가 나옵니다. 저는 'Example1'이라고 지정했습니다.



호스트의 이름을 지정하고 나면 암호를 생성하라는 화면이 나옵니다. 그냥 입력하면 저렇게 별 모양으로 나오지만 아래의 '[ ] Show Password in Clear'를 체크해주면 입력한대로 볼 수 있습니다.



입력한 암호를 재차 확인하는 과정입니다.



이제 새로 생성되는 유저의 이름은 무엇으로 할 것인지 설정하는 화면이 나옵니다.(맞는지 모르겠습니다)



새로 생성되는 유저에 대해서도 암호를 생성하는 화면이 나옵니다.



여기서도 암호 재차 확인 과정을 거치게 됩니다.



이제 파티션을 설정하는 화면이 나옵니다. 안내해주는대로 설정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안내해주는대로 따라가면 아래와 같이 하나의 디스크가 있는데 이 디스크를 사용하도록 합니다.



디스크를 지정하면 아래처럼 파티션을 하나에 모두 몰아넣을 것인지 아니면 분할해서 넣을 것인지 설정하는 화면이 나옵니다. 저는 모두 몰아넣도록 하겠습니다. 저기서도 추천을 한다고 하네요.



이제 모든 파티션 설정이 완료되었습니다. 가장 아래의 항목을 통해 설정을 끝내줍니다.



설정을 저장하도록 합니다. 



아까와 같이 또 한참을 기다리게 됩니다.



무슨 설문조사에 참여할 거냐고 묻는 과정인데 그런거 안해도 됩니다. 어차피 제 가상머신은 인터넷도 안 돼 있어서 할 수 없습니다.



아래의 화면은 지금까지 설치한 가상머신을 GUI환경으로 할 것인지 CUI로 할 것인지 어떠한 용도로 사용할 것인지 등등을 묻는 화면입니다. 만약 GUI로 하고 싶다하면 가장 위의 'Debian desktop environment'를 체크해주면 되고 아니라면 해제해주면 됩니다. 그리고 아래의 것들은 꼭 설정하지 않아도 나중에 설정할 수 있습니다.



또 다시 기다려줍니다.



GRUB이라고 하는 부트 로더를 설치할 것이냐고 묻는 화면입니다. 제가 알기로는 꼭 설치해야 한다고 알고 있습니다.



GRUB이라 하는 부트 로더를 어디에 설치할 것인지 지정해주는 화면입니다. /dev/sda로 지정해줍니다.



이제 모든 설치가 완료되었습니다. 'Continue'를 통해 끝내주도록 합니다.



'Continue'를 클릭했다면 가상머신이 재부팅을 하게 됩니다. 아래의 화면은 가상머신을 재부팅하고 난 후 첫 화면입니다. 엔터를 눌러서 넘어가도 되고 잠시 기다리면 자동으로 넘어갑니다.



아래와 같이 사용자 이름과 암호를 입력해서 로그인합니다. 참고로 리눅스에서는 암호를 입력할 때 보이지 않습니다.



'root'유저로 로그인한 화면입니다.



이상으로 'Debian 9.2' 설치에 대한 포스팅을 마치도록 하겠습니다.

'Server > Debian(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Debian - RAID  (0) 2019.03.06
Master DNS  (0) 2018.12.24
Debian 9 IP 설정  (0) 2018.11.14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