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어문이라는 것은 모든 프로그래밍 언어에서 사용되는 것으로 쉽게 말해 일련의 조건을 주어 프로그램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이 제어문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if

 if라는 것의 영어적 의미는 '만약 ~라면'이라는 뜻으로 보통 가정을 세울 때 사용합니다. 이는 프로그래밍에서도 마찬가지로 괄호 안의 내용이 참이면 아래의 조건을 실행하라는 의미로 사용됩니다. 형식은 아래와 같이 사용할 수 있습니다.

 

 - if( 조건1 ){

      내용;

   } else if( 조건2 ){

      내용;

   } else

      내용;

 

 위의 형식에서 만약에 조건1에서 false값이 나온다면 조건2로 넘어가게 될 것입니다. 조건2도 false값이 나온다면 마지막 디폴트인 else 부분으로 넘어가게 될 것입니다. 이처럼 'if'와 'else if'를 함께 사용하는 것은 만약 위의 조건이 거짓이라면 아래의 조건으로 넘어가라는 의미가 됩니다. 그렇다면 아래를 보도록 하겠습니다.

 

 - if( 조건1 ) {

      내용;

   }

 

   if( 조건2) {

      내용;

   }

 

 프로그래밍이 처음인 사람들은 위와 같은 실수를 종종 일으키곤 합니다. 위의 형식은 앞서 배웠던 'if-else if' 형식과는 다른 형식입니다. 이는 if문이 2개인 것이므로 조건1에서 true 값이 나온다고 해서 조건2를 수행하지 않는 것이 아닌 것이 됩니다.

 

 또한 C에서는 if문에서 괄호 사이에 0혹은 1을 넣어도 잘 작동했던 경험이 있을 것입니다. 하지만 자바에서는 숫자를 논리형 조건식으로 인식하지 않기 때문에 'true'혹은 'false'를 넣어주어야 합니다. ( true = 무조건 실행, false = 무조건 생략 )

 

2. if 문의 예제

 이번에는 if 문의 예제로서 2개의 수를 입력받아 더 큰 수를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해보도록 하겠습니다.

import java.io.*;

public class Round06_Ex01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throws IOException {
	
		BufferedReader in = new BufferedReader(new InputStreamReader(System.in));
		int first = 0, second = 0;
		System.out.println("첫번째 수 : ");
		first = Integer.parseInt(in.readLine());
		
		System.out.println("두번째 수 : ");
		second = Integer.parseInt(in.readLine());
		
		if(first > second) {
			System.out.println("첫번째 수("+first+")");
			System.out.println("가 두번째 수("+second+")");
			System.out.println("보다 큽니다");
		} else {
			System.out.println("첫번째 수("+first+")");
			System.out.println("가 두번째 수("+second+")");
			System.out.println("보다 작습니다");
		}

	}

}

 위의 코드는 간단한 코드이므로 별다른 설명은 필요하지 않을 것 같습니다. 그렇다면 이번에는 3개의 수를 입력받아 내림차순으로 정렬하는 코드를 작성해보도록 하겠습니다.

import java.io.*;

public class Round06_Ex02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throws IOException {
		
		BufferedReader in = new BufferedReader(new InputStreamReader(System.in));
		int first = 0, second = 0, third = 0;
		int tmp = 0;
		
		System.out.println("첫번째 수 : ");
		first = Integer.parseInt(in.readLine());
		System.out.println("두번째 수 : ");
		second = Integer.parseInt(in.readLine());
		System.out.println("세번째 수 : ");
		third = Integer.parseInt(in.readLine());
		
		if(second >= first && second >= third) {
			tmp = first;
			first = second;
			second = tmp; 
		} else if(third >= first && third >= second) {
			tmp = first;
			first = third;
			third = tmp;
		} 
		
		if(third >= second) {
			tmp = second;
			second = third;
			third = tmp;
		} 
		
		System.out.println();
		System.out.println(first + " >= " + second + " >= " + third);

	}

}

 위의 코드에서 자세히 볼 부분은 first 변수와 second 변수의 값을 서로 바꾸는 방식입니다. 저렇게 임시 변수를 생성하지 않고 바로 first = second, second = first로 바꾸면 되지 않냐는 생각을 할 수 있는데 만약 이렇게 한다면 first에 second의 값이 들어간 후 second에 first의 값을 넣으려 할 때에는 first에 이미 second 값이 들어있으므로 second = second인 셈이 되는 것입니다. 때문에 임시 변수를 생성하여 원래 있던 값을 따로 저장해놓은 후 하나의 값을 바꾼 후 다른 변수에 임시 변수의 값을 넣어주는 것입니다.

 

3. switch ~ case ~ break

 if 문은 위에서부터 모든 조건을 수행해보고 참과 거짓을 가려야 하기 때문에 값이 true인 조건을 찾을 때까지의 시간이 다소 오래 걸릴 수 있습니다. 이렇게 시간이 늘어날수록 속도는 현저히 느려지기 때문에 이를 대체하기 위해 switch ~ case 라는 것이 나왔습니다. 이 switch-case문은 조건을 하나씩 비교하는 것이 아닌 말 그대로 여러 케이스 중 조건과 맞는 케이스를 찾아 바로 실행하는 방식입니다. 형식은 아래와 같이 사용할 수 있습니다.

 

 - switch( ) { // 괄호 안에는 byte, short, int, char 자료형의 값( 굳이 변수나 숫자가 아니어도 상관 X )

   case 값1 : 내용; break; // 내용은 굳이 하나가 아닌 '내용; 내용;' 식으로 여러 내용을 사용 가능

   case 값2 : 내용; break;

   case 값n : 내용; break;

   default : 내용; // 어떠한 case에도 조건이 맞지 않을 경우 자동실행

   }

 

 switch-case에서 조심해야 할 점은 특별한 경우가 아닌이상 각 case에는 break;를 작성해주어야 한다는 것입니다. 만약 이 break;를 써주지 않으면 조건에 맞는 case의 내용을 실행하고 이후에 멈추지 않고 계속해서내려가면서 아래의 case를 실행하게 될 것입니다. 결론적으로는 원하는 case만을 실행하는 것이 아닌 조건에 맞는 case부터 break;를 만날 때까지 모든 case의 내용이 실행된다는 것입니다. 반대로 이러한 점을 응용하는 것도 가능합니다. 만약 여러 개의 case에 해당하지만 하나의 내용으로 묶고 싶을 때는 아래와 같이 사용할 수 있습니다.

 

 - switch( ){

   case n : case n-1 : 내용; break;

   default : 내용;

 }

 

 만약 위와 같이 코딩을 하게 되면 switch문에서 괄호에 n이 들어가든 n-1이 들어가든 같은 내용이 실행될 것입니다.

 

4. switch ~ case ~ break 의 예제

 이번에는 주민등록번호 뒷자리 7개 중 첫번째 자리를 입력받아 태어난 연도와 성별을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해보도록 하겠습니다.

import java.io.*;

public class Round06_Ex03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throws IOException {
		
		System.out.println("주민번호 7번째 자리");
		int x = System.in.read()-48;
		int year = 0;
		String sex = "";
		
		switch(x) {
		case 9 : case 0 : year = 1800; break;
		case 1 : case 2 : year = 1900; break;
		case 3 : case 4 : year = 2000; break;
		default : System.out.println("잘못 입력");
		}
		
		sex = x%2 == 0 ? "여성" : "남성";
		
		System.out.print("당신의 나이는" + year + "년대생");
		System.out.println(sex + "입니다");

	}

}

 위의 코드를 살펴보면 앞서 언급했던 여러 개의 case를 하나의 내용으로 묶는 방법이 사용되었습니다. 그렇다면 또 다른 코드를 작성해보도록 하겠습니다.

import java.io.*;

public class Round06_Ex04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throws IOException {
		
		BufferedReader in = new BufferedReader(new InputStreamReader(System.in));
		int num1 = 0, num2 = 0, tot = 0;
		char ch = 0;
		
		System.out.println("첫번째 수 : ");
		num1 = Integer.parseInt(in.readLine());
		System.out.println("연산자(+, -, *, /, %) : ");
		ch = (char)System.in.read();
		System.in.read();
		System.in.read();
		System.out.println("두번째 수 : ");
		num2 = Integer.parseInt(in.readLine());
		
		switch(ch) {
		case '+' : tot = num1 + num2; break;
		case '-' : tot = num1 - num2; break;
		case '*' : tot = num1 * num2; break;
		case '/' : tot = num1 / num2; break;
		case '%' : tot = num1 % num2; break;
		default : System.out.println("잘못된 연산자");
		}
		
		System.out.println();
		System.out.println(num1 + " " + num2 + " = " + tot);

	}

}

 이 코드는 두 수와 연산자를 입력받아서 계산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입니다. 이번에도 별다른 내용은 없으므로 넘어가도록 하겠습니다.

 

'프로그래밍 > JAVA'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바 제어문 - 문제  (0) 2019.04.19
제어문 - 2 ( for, while, do-while )  (0) 2019.04.17
자바 연산자 - 문제  (0) 2019.04.16
자바 연산자 - 2  (0) 2019.04.15
자바 연산자 - 1  (0) 2019.04.14

1. 숫자 하나를 입력받아 그 수가 1이면 "남성", 2이면 "여성"을 출력하는 프로그램

 

 - 해답

import java.util.Scanner;

public class Test3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canner sc = new Scanner(System.in);
		
		int i = sc.nextInt();
		
		System.out.println(i==1?"남성":"여성");

	}

}

 

2. 문자 하나를 입력받아 그 문자가 산술 연산자인지 아닌지를 판단하는 프로그램

 

 - 해답

import java.io.*;
import java.util.Scanner;

public class Test4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throws IOException {
		
		Scanner in = new Scanner(System.in);
		String str = "";
		
		System.out.println("산술 연산자 입력(+, -, *, /, %) : ");
		str = in.nextLine();
		
		if("+".equals(str))
			System.out.println("산술 연산자임");
		else if("-".equals(str))
			System.out.println("산술 연산자임");
		else if("*".equals(str))
			System.out.println("산술 연산자임");
		else if("/".equals(str))
			System.out.println("산술 연산자임");
		else if("%".equals(str))
			System.out.println("산술 연산자임");
		else
			System.out.println("산술 연산자가 아님");
		
	}

}

 

 이번 문제풀이에서는 BufferedReader 대신에 Scanner라는 입력클래스를 사용하였습니다. 이유는 BufferedReader보다 훨씬 간편하고 사용하기도 편리하기 때문입니다. 

 

 문제 2번에서 if문은 아직 포스팅하지는 않았지만 저걸 사용하지 않으면 도저히 풀 방법이 없는 것 같아서 사용하였고 if문에 "+".equals(str)과 같이 산술 연산자를 사용하지 않은 이유는 if(str == "+")과 같이 코드를 작성하면 오류가 발생하여 해결되지 않아 저렇게 대체하였습니다.

'프로그래밍 > JAVA'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어문 - 2 ( for, while, do-while )  (0) 2019.04.17
제어문 - 1 ( if, switch-case-break )  (0) 2019.04.17
자바 연산자 - 2  (0) 2019.04.15
자바 연산자 - 1  (0) 2019.04.14
자바 기본 입출력 - 문제  (0) 2019.04.11

6. 관계 연산자

 관계 연산자는 일상의 수학에서 부등호 역할을 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왼쪽과 오른쪽의 대소를 구분하여 참과 거짓을 반환하는 형태입니다. 결과값은 true 혹은 false로 나타내기 때문에 논리형에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관계 연산자는 비교 관계 연산자와 항등 관계 연산자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1] 비교 관계 연산자 ( <, >, <=, >= )

  비교 관계 연산자는 초과, 이상, 미만, 이하를 나타내는데 사용합니다.

 

  - int a = 10;

    int b = 11;

    boolean bool = a < b;   // bool의 값은 true

 

 2] 항등 관계 연산자 ( ==, != )

  항등 관계 연산자는 왼쪽과 오른쪽의 두 값이 같은지 아닌지를 판단할 때 사용합니다. '=='은 두 값이 같다는 의미이고 '!='은 두 값이 다르다는 의미입니다. 각 연산자의 결과값은 참이면 true를, 거짓이면 false를 반환합니다.

 

  - int a = 10;

    int b = 11;

    boolean bool = a == b;   // bool의 값은 false

 

7. 비트 연산자

 비트 연산자는 앞서 설명했던 쉬프트 연산자와는 약간의 차이점이 있습니다. 쉬프트 연산자의 경우에는 비트로 변환 후 일정 값 만큼 이동시키지만 비트 연산자는 비트로 변환 후 서로 일치하는 비트의 수를 계산하는 연산자입니다. 

 

 1] AND 연산자 ( & )

  이 AND 연산자는 두 피연산자의 비트 값이 모두 1일 때 결과값을 1로 반환하고 나머지는 0으로 반환합니다.

 

  - int a = 3;

    int b = 5;

    int c = a & b;

 

    0000 0000 0000 0000 0000 0000 0000 0011     // 10진수 3

    0000 0000 0000 0000 0000 0000 0000 0101     // 10진수 5

    -------------------------------------------------- AND 연산

    0000 0000 0000 0000 0000 0000 0000 0001     // 10진수 1

 

 2] Exclusive OR 연산자 ( ^ )

  이 연산자는 & 연산자와 반대로 두 피연산자의 비트 값이 서로 다를 때 1을 반환하고 같으면 0을 반환합니다.

 

  - int a = 3;

    int b = 5;

    int c = a & b;

 

    0000 0000 0000 0000 0000 0000 0000 0011     // 10진수 3

    0000 0000 0000 0000 0000 0000 0000 0101     // 10진수 5

    -------------------------------------------------- ^ 연산

    0000 0000 0000 0000 0000 0000 0000 0110     // 10진수로 6

 

 3] OR 연산자 ( | )   ※ 보통 엔터 키 위의 역슬래쉬를 Shift 키와 같이 누르면 나오는 기호

  이 연산자는 두 피연산자의 비트 값이 모두 0이면 0을 반환하고 하나라도 1이면 1을 반환합니다.

 

  - int a = 3;

    int b = 5;

    int c = a & b;

 

    0000 0000 0000 0000 0000 0000 0000 0011     // 10진수 3

    0000 0000 0000 0000 0000 0000 0000 0101     // 10진수 5

    -------------------------------------------------- ^ 연산

    0000 0000 0000 0000 0000 0000 0000 0111     // 10진수로 7

 

8. 논리 연산자

 논리 연산자는 앞에서 나왔던 것도 몇가지 있습니다. 서로 비슷하게 생긴 모양들도 있지만 각자의 역할이 다르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1] &와 &&연산자

  위 연산자들은 두 피연산자 모두 true값을 가지면 결과가 true가 됩니다. 하지만 실행에 있어서는 약간의 차이가 있습니다. &&는 &와 그 역할은 비슷하지만 두 피연산자의 값을 모두 비교하지 않는다는 다른 점이 있습니다. 아래의 예시를 보도록 하겠습니다.

 

  - int a = 10;

    int b = 20;

    boolean bool = ++x > y && x < ++y; 

 

 위의 코드를 실행해보면 bool에는 false 값이 들어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y의 값은 그대로 20인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는 && 연산이후 x < ++y 부분에서 y에 증감 연산자가 작동하지 않았다는 뜻이 됩니다. 이를 통해 알 수 있는 것은 && 연산자는 두 피연산자를 모두 비교하는 것이 아닌 앞에서 false라고 판단이 되면 뒤의 연산은 자동으로 수행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2] |와 ||연산자

  위 연산자들은 아까와는 반대로 두 피연산자 모두 false의 값을 가지면 false값을 출력하게 됩니다. ||연산자 또한 |와 같은 역할을 하지만 앞쪽 피연산자의 연산만으로 전체 결과의 판단이 가능하다고 판단되면 뒤의 연산은 수행하지 않습니다. 아래의 코드를 보도록 하겠습니다. 

 

 우선 |연산자부터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public class Round05_Ex05 {
	
	public static boolean aaa() {
		System.out.println("AAA");
		return true;
	}
	
	public static boolean bbb() {
		System.out.println("BBB");
		return false;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boolean b = aaa()|bbb();
		System.out.println("b = "+b);

	}

}

 위의 코드를 실행하면 aaa함수와 bbb함수가 모두 실행되어 'AAA', 'BBB' 모두 출력되고 이후에 true라는 값이 출력되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번에는 반대로 아래의 코드를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public class Round05_Ex04 {
	
	public static boolean aaa() {
		System.out.println("AAA");
		return true;
	}
	
	public static boolean bbb() {
		System.out.println("BBB");
		return false;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boolean b = aaa()||bbb();
		System.out.println("b = "+b);

	}

}

 위의 코드는 아까와는 반대로 'AAA'만 출력되고 true라는 값이 출력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9. 삼항 연산자

 삼항 연산자는 3개의 항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입니다. 구조는 아래와 같습니다.

 

  - 조건항 ? 항1 : 항2

 

 삼항 연산자는 조건항에서 연산을 수행 후 참이라면 항1의 연산을, 거짓이라면 항2의 연산을 수행하게 됩니다. 아래의 예시를 보도록 하겠습니다.

 

  - int a = 10;

    int b = 20;

    int c = a < b ? a : b;

 

 위의 코드의 결과는 a가 b보다 작기 때문에 c 변수에는 a의 값이 들어가게 됩니다. 하지만 C언어와 비슷하기 때문에 쉽게 발생하는 오류가 있습니다. 만약 아래와 같이 코딩을 하게 된다면 오류가 발생할 것입니다.

 

  - int a = 10;

    a == 10? System.out.println("참") : System.out.println("거짓");

 

 자바에서는 이러한 문법을 허용하지 않기 때문에 아래와 같이 고쳐주어야 합니다.

 

  - int a = 10;

    System.out.println(a == 10 ? "참" : "거짓");

 

 이처럼 동일한 문장을 반복하는 것이 아닌 하나의 문장 안에 전달할 매게변수에서 연산을 수행하여야 합니다.

 

10. 배정 대입 연산자

  배정 대입 연산자는 대입 연산자와 다른 연산자들을 결합한 형태라고 볼 수 있습니다. 때문에 두 가지 연산자의 역할을 모두 수행합니다. 아래의 예시를 보도록 하겠습니다.

 

  - int a = 10;

    int b = 0;

    int b = a -= ++b;

 

 위의 코드는 변수 b에 a에서 b에 1을 더한 값을 빼고 저장하라는 의미가 됩니다. 이를 자세하게 풀어쓰면 아래와 같이 나타낼 수 있습니다.

 

  - int b = ( a = a - (++b));   // 연산 결과는 a=9, b=9

'프로그래밍 > JAVA'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어문 - 1 ( if, switch-case-break )  (0) 2019.04.17
자바 연산자 - 문제  (0) 2019.04.16
자바 연산자 - 1  (0) 2019.04.14
자바 기본 입출력 - 문제  (0) 2019.04.11
자바 기본 입출력  (0) 2019.04.1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