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저번 시간에 패킷트레이서라는 프로그램에 대한 설명과 설치 방법에 대한 포스팅을 했었는데요. 이번 시간에는 이제 그 프로그램을 어떻게 사용하는지, 어떻게 이루어져 있는지 등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우선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도록 합시다.



 프로그램을 실행하면 위와 같이 아무것도 없는 화면을 보실 수 있을 것입니다. 왼쪽 위에 보면 일반 한글이나 오피스같은 프로그램들에서도 볼 수 있듯이 프로그램에 대한 설정과 파일생성, 수정, 저장 등에 대한 설정이 있습니다. 그렇다면 아래와 오른쪽에 위치한 것들은 어떤 역할을 하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왼쪽 아래에 있는 이 구역은 가상 환경에 사용될 가상의 라우터, 스위치, PC등의 모듈이 있는 구역입니다. 이 구역에서 원하는 버전의 라우터나 스위치를 끌어서 가운데 빈 화면으로 드래그하면 직접 설정할 수 있습니다.



 오른쪽의 이렇게 생긴 것은 핑(ping)을 보내거나 메모, 줄긋기와 같은 기능들이 있습니다.



 오른쪽 밑에 있는 이것은 핑(ping)을 보냈을 때 성공했는지 실패했는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창입니다.



 위의 화면은 라우터, 스위치, PC를 하나씩 끌어놓은 모습입니다. 라우터는 라우터항목에, 스위치는 스위치항목처럼 각 장치별로 구별되어 위치하고 있습니다. 이제 저 장치를 랜선으로 연결해보도록 하겠습니다. 랜선은 왼쪽 밑 패널 중 번개모양을 누르면 찾을 수 있습니다. 그럼 서로 연결시켜 주도록 하겠습니다.



 모두 연결해준 모습입니다. 연결하는 방법은 간단합니다. 아래의 랜선 중 상황에 맞는 랜선을 누른 후 장치를 누르면 어떤 포트에 연결할 것인지가 나옵니다. 그때 상황에 맞는 포트에 연결해주면 됩니다.(위의 경우는 시범이기 때문에 임의의 포트에 연결했습니다) 그렇다면 본격적으로 각 장치를 설정해주도록 하겠습니다. 우선 라우터부터 보도록 하겠습니다.



 제일 처음 클릭하면 위와 같은 창이 나옵니다. 위를 보면 'Physical', 'Config', 'CLI' 항목으로 나누어져 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우선 'Physical'항목을 들어가보도록 하겠습니다.

 패킷트레이서는 실제처럼 구성해놓았기 때문에 라우터에 새로운 포트를 추가해줄 때에는 장치 그림의 오른쪽 밑의 전원 버튼을 끈 후, 왼쪽에서 모듈을 옮겨서 장착한 다음 다시 전원을 켜주어야 합니다.(꽤 번거롭습니다) 



 위의 두 사진 중 첫번째가 전원을 끈 모습이고 두번째가 왼쪽에서 필요한 모듈을 옮겨놓은 모습입니다. 이제 다시 전원을 켜서 설정해주면 됩니다. 위의 과정은 나중을 위한 과정이므로 꼭 지금 필요한 과정은 아닙니다. 그렇다면 'Config' 항목으로 넘어가도록 하겠습니다.



 'Config' 항목의 모습입니다. 보시다시피 왼쪽에는 기본적인 명령어들이 있고 중간에는 'Display Name'과 'Hostname'이 있습니다. 그리고 아래에는 왼쪽의 명령어를 클릭했을 때 표출되는 화면이 나와있습니다. 

※ 'Display Name'은 토폴로지 상에서의 장치 이름을 설정하는 것이고 'Hostname'은 장치 내에서의 이름을 설정해주는 것입니다.


 그렇다면 'CLI' 항목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CLI'는 직접적으로 명령어를 입력하는 구간입니다. 즉, 직접적인 설정을 하는 항목이라는 말이 됩니다. 앞으로 모든 설정은 이 항목에서 하게 될 것입니다. 위의 화면에서는 라우터에 모듈을 장착한 후 전원을 켠 후의 모습입니다.

 이렇게 라우터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이번에는 스위치로 넘어가겠습니다.



 스위치도 라우터와 똑같이 3개의 항목으로 나누어져있습니다. 다만 스위치에는 전원버튼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전원이 따로 존재하지 않고 L3 스위치와 같은 높은 레벨의 스위치가 아닌 이상은 장착할 모듈이 없습니다. 그렇다면 마찬가지로 'Config' 항목과 'CLI' 항목도 둘러보겠습니다.


 스위치도 라우터와 별반 다를 것이 없다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이제 PC로 넘어가보도록 하겠습니다.



 PC는 다른 장치들과는 다르게 항목이 많습니다. 또 'CLI' 항목도 존재하지 않습니다. 그렇다면 각 항목이 어떤 것을 의미하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우선 'Physical' 항목은 다른 장치들과 다른 것 없이 모듈을 장착하거나 전원을 끄고 켤 수 있습니다. 'Config' 항목도 다른 장치와 다를 것이 없어 넘어가도록 하겠습니다. 그리고 바로 'Desktop' 항목을 보도록 하겠습니다.



 이 항목에서는 우리가 일반적으로 PC에서 사용하는 서비스들을 볼 수 있습니다. 'Command Prompt'는 cmd를 의미하고 'IP Configuration'은 IP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 그 외에도 다양한 서비스들이 있습니다. 이상으로 패킷트레이서 활용 1편에 대한 포스팅을 마치도록 하겠습니다.

'Network ' 카테고리의 다른 글

Subnetting [ 서브넷팅 ]  (0) 2018.09.10
TCP/IP  (0) 2018.09.06
OSI 7계층  (0) 2018.09.03
OSI(Open Systems Interconnection) 참조 모델  (0) 2018.08.29
Packet Tracer [ 패킷트레이서 ]  (0) 2018.08.27

+ Recent posts